본문 바로가기
경제 재테크 정보/국내주식 정보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 영화테크, 에코프로, 코스모화확 주가 전망

by 축돌 2021. 9. 7.
반응형

 

 

안녕하세요!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완성차와 배터리 제조업체들이

폐배터리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원자재 가격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리튬, 코발트, 니켈 등을

자체 조달할 수 있는 데다

시장 규모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어서 입니다

 

 

현대자동차·기아, 테슬라, 폭스바겐 등

글로벌 자동차업체와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등

배터리업체들이

배터리 재활용·재사용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사활을 건 합종연횡을 벌이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설립한

합작법인 얼티엄셀즈를 통해

배터리 재활용업체 리(Li)-사이클과

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글로벌 안전인증 기업 UL과

재사용 배터리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기아는 SK이노베이션과

배터리 재활용 기술을 확보,

순환경제 구축에 나서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사업 전망

 

 

 

폐배터리 시장 규모가

2020년 4000억원에서 2040년 87조원 수준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폐배터리에서 원자재를 확보하는

‘도시 채굴’ 시스템을 먼저 갖추는 기업이

시장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을 것입니다

 

 

 

2차전지 기술 발전으로

전기차와 수소전기차 등

차세대 모빌리티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폐배터리 시장은

이를 그대로 뒤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폐배터리 산업은

수익과 환경 두 가지 측면에서

그린뉴딜에 최적화 있다는 점에 주목할만 합니다

전기차용 배터리는

단순히 쓰고 남은 전지 수준이 아닙니다

 

전기차 생산원가의 40~5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이면서 각종 희유금속의 보고입니다

폐배터리의 충전능력이

초기 대비 70% 안팎만 유지된다면

ESS(대용량에너지저장장치) 등에

얼마든지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폐배터리를 재사용한 ESS는

단가가 신제품의

40~70% 수준으로 저렴합니다

재사용이 어려울 정도로 노후화된 배터리라도

하이니켈, 코발트, 리튬 등

값비싼 원자재를 추출해 쓸 수 있습니다

 

최근 이차전지 수요가 높아지면서

코발트는 품귀현상을 빚고

리튬은 가격이 3배 이상 오르기도 했습니다

 

업계에선 폐배터리 성분 중

80% 이상을 재활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폐배터리를 처리해야 하는 입장에서도

환경 리스크를 피할 수 있습니다

 

폐배터리의 원료인 코발트, 니켈 등을

폐기·매립하면 환경에 치명적인데,

결국

재활용이 '윈윈전략'입니다

업계에선 올해 하반기부터

1세대 전기차의 폐배터리가

본격적으로 시장에 나올 것으로 관측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선 현대·기아차 등이

2014년부터 전기차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이

5~10년 수준인 것을 감안하면

올해 하반기가 폐배터리 시장이 열리는 적기입니다

 

 

폐배터리 관련주 주가 전망

 

1. 영화테크

 

전기자동차/이차전지 부품,

자동차 전장부품, 전력전자부품 등의

연구, 설계, 개발,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전력변환 관련

특허 보유 중소기업 1위의 기술력과

양산수주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신규 시장/고객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국내 자동차 5사는

물론 해외 글로벌 OEM사에 제품을

개발/공급하고 있는 등

안정적이고 다양한 고객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2. 코스모화학

 

1968년 2월에 설립되었으며,

이산화티타늄(아나타제, 루타일), 폐수처리제 등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으로는

기능성필름, 2차전지용양극활물질 등을

생산 및 판매하는 코스모신소재와

유기 및 무기 화학공업 제품제조,

시스템 인터그레이션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코스모촉매 및 코스모에코켐이 있습니다

 

국내 유일의 이산화티타늄 제조업체이며,

수입제품 외 국내 경쟁 생산업체는 없습니다

 

 

3. 에코프로

 

사업 부문은

환경 사업과 전지재료 사업으로 분류됩니다

 

환경사업 부문은

유해가스 저감 장치, 온실가스 저감 장치,

대기환경 플랜트 등을 생산합니다

 

전지재료 사업은

양극활물질, 전구체 등을 판매합니다

 

스미모토금속광산, Basf Toda Battery Materials 등이

양극재 부문 주요 경쟁사입니다

 

 

4. 인선이엔티

 

건설폐기물의 수집ㆍ운반 및

중간처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1997년11월13일에 설립되었습니다

 

2020년 9월 기준 5개의

종속회사를 두고 있으며,

모두 비상장 기업입니다

 

비계구조물 해체에서부터

건설폐기물의 수집ㆍ운반 및 중간처리,

순환골재 생산, 폐기물의 최종처분까지

국내 유일 폐기물 일괄처리 기술 및

특허를 보유함을 바탕으로

자동차재활용 사업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5. 파워로직스

 

PCM(Protection Circuit Module),

SM(Smart Module),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CM(Camera Module) 등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보라전자(천진)유한공사,

보라전자과기(양주)유한공사,

엔코, 티엔에스 등

10개 회사를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삼성SDI, 삼성전자, LG화학 등을

주요 거래처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