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백신 부족에 따른
백신 자국주의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백신 특허 및 지식재산권을 무기로
백신 생산 확대를 반대하는
나라 및 제약사들이 있습니다
조 바이든 행정부는
백신 특허 유예를 토대로
백신 생산을 확대하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데,
몇몇 선진국과 EU 국가들에서는
반대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정속에서 계약 물량이
제때에, 제대로 들어올지도 모르고
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불안감으로
접종률이 떨어질까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을 비롯해 각국에서 코로나 19 백신을 개발해
전 세계에 공급중이지만
그나마 안전성에 있어서
mRNA를 이용한 백신이
아스트라제네카보다 우위로 알려져있고,
현재까지 화이자와 모더나에서만
생산하고 있던
메신저 리보핵산(mRNA)을
독일 큐어백에서 사용 승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화이자, 모더나에 이어
독일 큐어백이 mRNA(메신저 리보핵산) 기반
코로나19 백신의 임상 3상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변이된 염기서열만 교체하면
가장 신속하게 중화항체를 유도할 수 있는
백신 플랫폼 기술이라
국내 제약사들도 기술 도입에 나섰습니다
이렇게
독일 mRNA 큐어백 백신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어서
관련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ㅣ mRNA 큐어백 백신 관련주 주가 및 전망
1. 에스티팜
2008년 8월 유켐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2010년 삼천리제약을 흡수합병하면서
상호를 에스티팜으로 변경했습니다
신약 원료의약품 및
제네릭 원료의약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은
C형간염치료제 원료의약품 및
올리고 핵산치료제 원료의약품입니다
2020년 Roche CDMO Awards 2019를
수상하였으며
올리고 생산설비 1,2 차를 증설했습니다
11월 mRNA 관련
신사업에 진출했습니다
국내에서 mRNA 기술에
앞서 있는 에스티팜은
한국, 일본 등 아시아 12개국에서
제네반트 사이언스의 LNP 약물 전달체
기술을 이용해 mRNA 백신을
직접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습니다
4월 큐백과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
및 상업화에 필수적인 LNP(Lipid Nanoparticle, 지질 나노 입자)
약물 전달체 기술 도입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2. 아이진
2000년 설립되었으며
신약 연구 개발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벤처기업으로서
2013년 코넥스시장에 상장했습니다
허혈성 질환 중 당뇨망막증,
욕창, 창상, 그리고 심근허혈/재관류
손상치료제를 개발 중이며,
자궁경부암 백신과 대상포진
백신에 대한 연구도 진행중입니다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2017년부터 바이오 IT 시스템
사업을 시작했으며
2018년부터는 의약품 도매와
건강기능식품 사업 개시했습니다
아이진은 양이온성 리포솜을
mRNA 전달체로 개량해
사용하는 기술을 확보했다.
LNP 사용 mRNA 백신은
영하 20~70도의 콜드체인이 필요하지만,
양이온성 리포솜은 2~8도 보관이 가능하다.
내달 임상시험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후기 임상시험에 쓰일
생산설비 구축을 준비 중입니다
3. 엔지켐생명과학
현재 원료의약품 의약화학을 기반으로
합성신약을 연구, 개발하고
기술이전 등을 통해
사업화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동물약품, 화학약품, 식품, 건강보조식품,
식품첨가물, 의약품, 의약외품,
화장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수출 주력 품목인 항결핵제는
세계에서 2번째로 제품을 개발하여,
국내 D사에 이어
두 번째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2022년까지 1억 도즈의
mRNA 백신 생산·공급을 목표로
mRNA 백신 위탁생산(CMO)
사업 진출을 선언했습니다
충북 오송 부지면적 5300평에
완전자동화 mRNA 백신공장을 12개월 내
건설할 계획입니다
mRNA 백신 원료인 지질
CMO 사업에도 진출할 예정입니다
지질은 mRNA 백신에 쓰이는
필수 원료로,
mRNA를 감싸 분해를
막아주는 보호막 역할입니다
4. 이연제약
1964년 설립 이후
전문의약품과 원료의약품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영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오리지널 진단제의약품, 제네릭 전문의약품,
특화된 원료의약품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각 부문의 차별화된 Marketing을
통해 우수한 수익성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제품력에 대한 인지도 제고,
영업인력의 생산성 증가,
진입장벽이 높은 고부가가치 원료의약품
생산을 통해 우수한 수익성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연제약 역시 최근 mRNA 기반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해
엠디뮨과 바이오드론 약물 전달
플랫폼 기술도입에 관한
라이선스 및 공동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엠디뮨의 CDVs를 이용한 바이오드론
약물 전달 기술에 mRNA 봉입 기술을 적용해
mRNA 기반 백신 및 희귀유전질환
치료제의 비임상·임상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경제 재테크 정보 > 국내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밀키트 관련주 총정리 - 현대그린푸드, 오뚜기, CJ제일제당, 우양, CJ씨푸드, 신세계푸드, 롯데푸드 주가 및 전망 (0) | 2021.09.04 |
---|---|
항공모빌리티 UAM 관련주 - 현대차, 기산텔레콤, 네온테크, 베셀, 피씨디렉트, 휴니드 주가 및 전망 (0) | 2021.09.04 |
건설 시멘트 관련주 주가 및 전망 - 한일시멘트, 성신양회, 고려시멘트, 아세아시멘트 (0) | 2021.09.04 |
미국 증시 상장 쿠팡 관련주 - 동방, 영풍제지, KTH, 대영포장 주가 및 전망 (0) | 2021.09.04 |
알트코인 및 비트코인 가상화폐 관련주 - 위지트, 우리기술투자, 비덴트 주가 및 전망 (0) | 2021.09.04 |
댓글